포스트

[백준] 그리디 알고리즘 <2-2>

풀었던 그리디 문제 중 개인적으로 어려웠던 문제들을 정리해보았다.

이전 글
그리디<2-1>

3. 공항

백준 10775번: 공항

난이도 골드2의 문제이다.

문제가 약간 설명이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있는듯 하다.

공항에 도킹할 수 있는 게이트의 숫자가 주어지고, 도킹을 시도하려는 비행기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이때 비행기는 1번부터 주어진 숫자 g_i 까지 도킹을 시도하며, 단 하나의 비행기라도 도킹이 불가하다면 이후부터는 도킹을 시도하지 않는다.

즉 중간에 도킹이 불가하다면 이후에 들어오는 비행기가 조건을 만족해 도킹이 가능하더라도 하지 않는다는 뜻이었다.

3.1 발상

처음에는 단순한 그리디식 자리 찾기 문제인 줄 알고 코드를 작성했지만 시간 초과를 받았다.

시간초과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import sys
read = sys.stdin.readline

G = int(read())
P = int(read())

g_is = [False] * (G+1)

def find_place(p_i: int):
    if not g_is[p_i]: # 해당 자리가 비어있다면 들어감
        g_is[p_i] = True
        return True
    
    while p_i != 0: # 비어있지 않다면 한 자리씩 내려가면서 들어감
        p_i -= 1
        if not g_is[p_i] and p_i != 0:
            g_is[p_i] = True
            return True
    
    return False
   
count = 0
for _ in range(P):
    p_i = int(read())

    if find_place(p_i):
        count += 1
    else:
        break

print(count)

이전 글에서 설명했듯 이 코드는 최악의 경우 $O(N^2)$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더 간결한 코드로 바꿔야 했다.

3.2 해결

해당 문제는 union-find로 해결 가능했다.

해당 문제의 2번 예제로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먼저 각각의 인덱스를 값으로 가지는 airports 테이블을 준비한다.

    01234
    01234
  2. 해당 인덱스에 해당하는 비행기가 들어온다면 그 비행기의 부모를 찾아준다. 가장 첫번째 비행기는 g_i가 2 비행기이니 parent = 2.
  3. 해당 부모의 -1 된 값을 부모로 설정한다.
  4. parent = 2 였으니 2번 비행기의 부모는 1번 port 가 된다.

    01234
    01134
  5. 다음 비행기도 g_i = 2 이다. 이때 find 과정을 통해 해당 비행기의 parent = 1 이 된다.
  6. 역시 -1의 parent값으로 설정해준다. 이때는 0이 된다.

    01234
    00134
  7. g_i = 3 인 3번 비행기는 2번 port에 배치된다.

    01234
    00124
  8. 이때 다음으로 g_i = 3 인 4번 비행기가 들어왔다. 해당 비행기의 parent = 0 이 된다.
  9. parent = 0 인 비행기가 나타나면 그 곳에서 코드를 종료한다.

코드의 개념 자체는 처음 시도한 끝에서부터 한 자리씩 찾는 코드와 유사하다. 볼드 처리한 3번 과정이 해당 번호부터 배치할 수 있는 가장 나중의 게이트를 찾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union-find로 반복문 없이 빠르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간 복잡도는 $O(G + P)$ 로 실행된다.

4. 전구와 스위치

백준 2138번: 전구와 스위치

난이도 골드4의 문제이다. 특정한 발상을 요구하고 있어서 골드4 문제 치고는 꽤나 어려웠다.

4.1 발상

처음 해당 문제를 시도했을땐 모든 방법을 시도해보아야 하는 브루트포스 문제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브루트포스라고 하기엔 경우의 수가 너무 많고 주어진 숫자도 커서 결국 포기했다.

4.2 해결

해당 문제의 재미있는 점은

  1. 전구의 누르는 순서는 관계 없다는 것이었다.
  2. 2가지 방법으로 나누게 되면 특정 전구에 영향을 주는 스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는 것이었다.

1번은 직접 시도해보면 쉽게 알 수 있고, 2번은 어떤 뜻일까?

해당 문제에서는 0번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누르지 않는 경우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리가 주어진 스위치들을 순차적으로 누르기로 결정했다면, 이미 누른 스위치는 절대 다시 누르지 않을 것이지 때문에 N번 전구에 영향을 주는 스위치는 N+1의 스위치가 된다.

하지만 0번 전구는 0번 스위치, 1번 스위치 모두에게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이런 경우의 수를 나누어서

  1. 0번 스위치를 미리 누른 경우
  2. 0번 스위치를 누르지 않고 시작하는 경우

2 가지로 나누어서 스위치를 적게 누른 값을 출력하면 된다. 또한 이 방법으로 불가능한 경우의 수 까지 걸러 낼 수 있으니 안성맞춤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import sys
from copy import deepcopy
read = sys.stdin.readline

N = int(read())

init_state = list(map(int,read().strip()))
goal_state = list(map(int,read().strip()))

def change_state(state: int):
    if state == 1:
        return 0
    
    return 1

def get_next_state(switch: int, current_state: list):
    for i in range(switch-1, switch+2):
        if i < 0:
            continue

        if i >= N:
            continue
        current_state[i] = change_state(current_state[i])

    return current_state

def press_0():
    copy_init_state = deepcopy(init_state)
    copy_init_state = get_next_state(0, copy_init_state) # 0번 누름
    count = 1
    for i in range(N-1):
        if goal_state[i] != copy_init_state[i]:
            copy_init_state = get_next_state(i+1, copy_init_state)
            count += 1
    
    if goal_state == copy_init_state:
        return count
    else:
        return -1

def dont_press_0():
    copy_init_state = deepcopy(init_state)

    count = 0
    for i in range(N-1):
        if goal_state[i] != copy_init_state[i]:
            copy_init_state = get_next_state(i+1, copy_init_state)
            count += 1
    
    if goal_state == copy_init_state:
        return count
    else:
        return -1

answer_a = press_0()
answer_b = dont_press_0()

if answer_a >= 0 and answer_b >= 0:
    print(min(answer_a, answer_b))
elif answer_a < 0 or answer_b < 0:
    print(max(answer_a, answer_b))
else:
    print(-1)

최초 발상이 해당 문제를 풀 수 있는지 없는지 가르는 문제였다.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